부분 기도폐쇄
숨이 통하는 경우에는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하며, 지속적으로 기침을 해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즉시 119로 연락을 취한다.
완전 기도폐쇄 : 의식이 있을 때는
기도폐쇄에 대한 처치 중 의식이 있고 기침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 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한다.
구조자는 한 손은 주먹을 쥔다. 주먹 쥔 손의 엄지를 배꼽과 검상돌기 중간에 위치한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밀쳐 올린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계속 한다.
완전 기도폐쇄 : 의식이 없을 때
의식이 없는 완전 기도폐쇄 환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영아 기도폐쇄
※ 1세 이하, 혹은 2세라도 체중이 10kg 이하인 환자
1. 환자의 얼굴이 우로 향하도록 환자를 자신의 팔위에 올려놓고 손으로는 환자의 머리와 경부가 고정되도록 잡는다.
2. 다음에는 다른 팔을 이용해 환자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서(돌려서) 턱을 잡은 손이 환자를 떠받친다.
3. 다른 쪽 손바닥으로 환자의 견갑골(어깨뼈)사이의 등을 5회 정도 연속해서 두드린다.
4. 다음 앞으로 돌려서 양쪽 젖꼭지 선의 한 손가락 밑에 두 손가락을 올린다.
5. 5회 반복하여 압박을 한다.
6. 입안의 이물질을 확인되면 제거한다.
7. 이물질이 없으면 등 두드리기부터 반복한다.
우렁이 알
오리고기 2012년 7월 18일 수요일 (0) | 2012.07.18 |
---|---|
발바닥이 뜨꺼운 이유 2012년 7월 16일 화요일 (0) | 2012.07.16 |
기도폐쇄 구급법 2012년 7월 15일 오후 10:18 (0) | 2012.07.15 |
충치때문에 암치료 불가 2012년 7월 15일 일요일 (0) | 2012.07.15 |
말초동맥질환 운동법2012년 7월 15일 일요일 (0) | 2012.07.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