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원의기능 2012년 6월 9일 토요일

부동산경공매

by 수호자007 2012. 6. 9. 19:57

본문

▶정원의 기능


1. 생활공간으로서의 기능
정원은 건축물에 부수된 여유공간이거나 보고 즐길 수 만 있는 장식적인 의미를 갖는 공간이 아니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공간이다. 건축물이 옥내생활공간이라면 정원은 옥외생활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한 휴식의 장소로서, 건강을 위한 스포츠 장소로서,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장소로서 이용되며 때로는 세탁이나 제품을 만드는 작업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2. 사생활보호를 위한 기능
주택은 공간 중에서도 사생활이 절대적으로 보호를 받는 공간이다. 따라서 주거공간에 있는 정원 역시 사생활이 보호받아야만 하므로 외부와 분리된 공간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러기 위하여 정원을 주택경계부위에 수목이나 담장으로 외부와 차단시켜,

정원내부에서는 위요감을 갖게하여 사생활을 보호받게 하며, 옥내에서는 더욱더 뚜렷한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게 되는 것이다.
3.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으로서의 기능
수목이나 초화류 등 식물은 인체에서 내뿜는 탄산가스를 흡수하고 우리 인체에 필요한 산소를 배출해 주고 있어 정원에 식물을 많이 가꾸게 되면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다는 부수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같은 기능 외에 생활공간주변에 있는 수목은

외부에서 날아오는 각종 분진이나 매연 등을 막아주거나 바람을 막아주고 뜨거운 햇볕을 차단해주며, 때로는 감미로운 꽃향기를 날려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 주게 된다.
4. 시각적 가치로서의 정원
도시인들은 인공화 되어가는 도시 속에서 자연을 동경하게 되었고, 인공미보다는 자연미에 더욱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정원에는 인위적으로 가다듬어 조형미를 나타낸 수목보다 정원에는 인위적으로 가다듬어 조형미를 나타낸

수목보다 자연상태 대로 자란 수목이나 초화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정원시설물도 콘크리트나 인조목 대신 목재와 같은

자연재를 많이 씀으로써 자연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5. 생산성을 지니는 공간으로서 기능
정원은 보고 아름다움을 감상하거나 즐기는 기능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생산성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정원에 유실수를 심어 과실을 수확하거나 채소나 약초 등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수도 있다. 과거 조선시대의 부져자들은 외출이 통제되었으므로 주로 후원에서 여가를 많이 보내게 되었고 여가를 이용하여 가정에 필요한 약초를 재배한 예가 있다.
6. 방제기능으로서의 정원
밀접된 도시환경에서 지진이나 화재 기타 예기치 못한 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정원은 첫째 긴급피난장소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된다. 특히 고층화되고 고밀화 되는 공동주택단지내의 정원은 비상시 대피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된다. 그리고 정원이나

녹지는 인접지의 재난으로부터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기능도 함께하고 있다. 화재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기능도

함께하고 있다.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접건축물이나 시설물들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그것이다.
7. 교양학습 공간으로서의 기능
정원에는 각종 동식물이 생명을 영위해 나가면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보고 자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는 좋은 학습재료가 될 수도 있다. 정원은 전체적으로 볼 때 종합과학에 의한 예술작품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용하는 가운데 스스로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닫게 하는 교양학습의 장이 되는 것이다.
8. 정서순화를 위한 기능
복잡한 환경에서 생활해야하는 도시인들은 항상 긴장해야 하고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살지 않으면 안대는데 자연이 있는 사생활이 보호되는 주택정원에서는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한편 정서적으로도 순화되어 생활에 여유를 갖게 된다.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들은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주택정원은 이들 어린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